본문 바로가기
세상 모든 교육

황하강이 황토색인 이유 강물흐름 / 황하강의 홍수원인 / 서해바다가 똥물인 이유

by 베캡어 2024. 7. 3.
반응형

황하의-흐름-지도-사진
황하의 흐름

 

황하(黃河, Yellow River)의 이름은 중국어로 "황토 강"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강의 이름은 그 특성상 강물이 노랗게 보일 정도로 맑지 않고, 많은 퇴적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것입니다. 

 

황하강으로 인한 우리나라 서해바다가 뻘인 이유는 황하강의 특성과 그로 인한 퇴적물의 이동 때문입니다. 

황하강은 중국 북부를 흐르며, 많은 양의 황토와 퇴적물을 운반합니다. 

이 퇴적물들은 결국 황하강 하구를 통해 바다로 흘러들어 가고, 한반도의 서해바다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오늘은 황하강의 경로, 언제부터 노란색으로 변화하는지, 상단의 지도와 하단의 설명과 함께 알아보도록 합시다.

 

황하강의 경로와 특성
1. 발원지: 황하강은 중국 칭하이성의 바얀카라 산맥(BayanHar Mountains, 巴顔喀拉)에서 발원합니다. 

이 지역은 고산지대로, 눈과 얼음이 풍부하게 존재합니다. 황하의 발원지는 맑고 깨끗한 물입니다.


2. 중류: 산시성, 허난성을 거쳐 흐르며, 이 지역에서 황토 고원을 지나갑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양의 황토가 강물에 섞여 들어갑니다. 중류부터 하류 지역까지 황하강 물이 노랗게 변하게 됩니다.


3. 하류: 산둥성을 지나 보하이 해로 흘러갑니다. 하류 지역에서 대량의 퇴적물이 강바닥에 쌓이고, 주기적으로 홍수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4. 보하이 해: 황하강이 보하이 해로 흘러들어가면서 퇴적물은 바다로 운반됩니다. 보하이 해는 황하강에서 운반된 퇴적물로 인해 매우 탁합니다.


5. 서해: 보하이 해에서 서해로 흘러가는 해류와 조류의 영향으로 퇴적물이 이동하여 우리나라 서해바다까지 도달합니다.

서해바다가 뻘인 이유
1. 퇴적물의 양: 황하강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퇴적물을 운반하는 강 중 하나입니다. 연간 수억 톤의 황토와 퇴적물이 바다로 흘러 들어갑니다.


2. 해류와 조류의 영향: 보하이 해에서 서해로 이동하는 해류와 조류가 황하강에서 유입된 퇴적물을 우리나라 서해까지 운반합니다.


3. 조간대: 서해는 조수 간만의 차가 커서 퇴적물이 쉽게 쌓이는 환경입니다. 특히 서해안의 넓은 갯벌 지역은 퇴적물이 쌓이기 좋은 조건을 제공합니다.


4. 지형적 특징: 서해는 얕고 평평한 지형으로 인해 퇴적물이 잘 쌓입니다. 이는 갯벌 형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요약
- 황하강은 많은 양의 황토와 퇴적물을 운반하여 보하이 해로 흘러들어 갑니다.
- 보하이 해에서 서해로 이동하는 해류와 조류가 퇴적물을 우리나라 서해까지 운반합니다.
- 서해는 조수 간만의 차가 크고, 넓은 갯벌 지역과 얕고 평평한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퇴적물이 쌓이기 좋은 환경입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우리나라 서해바다는 뻘이 많이 형성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황하강의 하류지역에서 홍수가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강둑의 붕괴: 황하강은 길이 약 5,464km의 매우 긴 강으로, 특히 중국 산둥성과 허베이성 지역에서는 강둑이 여러 곳에서 붕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강의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주변 지역에 홍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2. 강둑의 효과적인 관리 부족: 황하강의 강둑은 다양한 기술적 문제와 높은 비용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관리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둑의 유지보수와 보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강둑의 약점이 홍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강물의 피크 시즌: 황하강은 봄철에 눈 녹는 시기와 여름철 강우가 많이 쏟아지는 시기에 강물이 피크를 찍습니다.

이때 강둑이 붕괴되거나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홍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퇴적물 축적: 황하강은 상류에서 대량의 퇴적물을 수집하고 하류로 흐르기 때문에, 강둑에 퇴적물이 축적되면 강둑의 수용 능력을 초과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강둑이 붕괴되어 홍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지역적 특성: 황하강이 흐르는 중국의 동북부 지역은 주로 산이 많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지형적으로 습기가 많습니다.

또한 여름철 동아시아 몬순(孟风)이라고 불리는 남동쪽 바람이 불면서 장마가 발생합니다.

이들은 비가 많이 오는 지역적 특성입니다. 또한 지형적으로 강둑이 취약한 지역들이 많아서 홍수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황하강 하류지역에서는 홍수가 상대적으로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자연재해 요인 중 하나입니다.

반응형